[Git] Github에서 생성한 레포지토리 로컬에 가져오기 | PAT 인증, Authentication failed 해결
|2024. 9. 16. 09:00
반응형
Github에서 생성한 레포지토리(저장 공간)에 로컬에서 만든 코드를 올리기 위해서 레포지토리를 로컬에 가져올 필요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왔습니다. 본 글은 이 오류를 해결하는 과정을 기록하기 위해 쓰여졌습니다.
fatal: Authentication failed for '[repository url]'
먼저 생성한 레포지토리의 url을 가져옵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화면을 이동(repository 선택 > 상단 Code 탭 선택 > 우측 상단의 초록색 Code 버튼 클릭 > HTTPS 선택)해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링크 옆의 복사 버튼으로 url을 클립복드로 복사합니다.
이렇게 복사한 레포지토리 url을 아래 커맨드를 CLI에 입력합니다.
git clone [repository url]
그러면 GitHub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사용자 이름은 Github 프로필을 클릭하면 나오는 이름을 작성해주면 되지만, 여기서 Github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위에서 언급한 오류가 나오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Personal Access Token(PAT)을 사용해 Github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됩니다.
PAT를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하면 됩니다.
- GitHub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 상단 우측 프로필 사진을 클릭한 후, Settings를 선택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Developer settings를 선택한 후, Personal access tokens으로 이동합니다.
- Tokens (classic) 항목을 클릭한 다음, Generate new token 버튼을 클릭합니다.
- 토큰에 대한 설명을 작성하고, 사용 범위를 설정합니다.
- repo 권한은 필수입니다.
- Generate token 버튼을 눌러 토큰을 생성합니다.
- 생성된 토큰을 복사합니다.
이렇게 완료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잘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Commit 유지하면서 다른 Repository 합치기 (0) | 2024.12.23 |
---|---|
GitHub Action으로 LeetCode 풀이 commit 자동화하기 | LeetCode Sync (0) | 2024.12.22 |
[Git] 으로 이진탐색으로 버그 찾기 | git bisect 활용 (0) | 2024.08.28 |
[Git] 깃 관련 학습할 수 있는 소스 모음 (0) | 2021.12.05 |
[Git] 깃 개념, 단어 정리 (repository, commit, branch, fork, push, pull, fetch, pull request) (0) | 2021.11.14 |